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알림마당

소식 및 알림, 활동모습을 알려드립니다.

자유게시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7-04-24 16:57 작성자김윤정 | 대구교육본부  댓글 3건 조회 3,827회

한자교육의 필요성과 유래

본문

한자교육의 필요성과 유래

통신과 SNS등이 많이 발달한 요즘, 학생들에게 한자란 어렵고 고리타분한 글자들이다. 그러나 한자를 알게 된다면 단어의 고유한 원리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국어나 과학 공부에도 도움이 많이 된다. 한자 뜻이 많이 담겨있는 과학 용어를 이해하거나, 문학이나 고전시가의 뜻을 풀이해 나갈 때도 도움이 된다.

한자가 중국의 어떤 지역에서 만들어졌는지 누가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고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창힐이라는 중국황제의 신하가 짐승의 발자국을 보고 영감을 받아 한자를 만들어 냈다고 한다. 한글과 한자의 차이라면 한글은 백성들을 위해 만들었지만 한자는 철저하게 지배자를 위한 도구로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다. 한자는 약 기원전 4,000년경부터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자의 기원과 관련해 우리가 일반적으로 기억하고 있는 내용은 갑골문자일 것이다. 현재까지 출토된 고고학적 자료를 보면, 현재로부터 7,000년 전의 신석기시대 초기 문화유적지에 새김부호가 탄생했는데 이들은 도기나 거북딱지로부터 새겨져 있었다. 훗날에도 옥기에 새겨진 것이 있었는데 이들은 구체적인 도형이나 추상적인 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다면 가장 연대가 높은 문자는 언제일까?

기원전 14세기~11세기쯤의 유물로 보이는 금문과 갑골문 그리고 6,800년 전 사용된 도문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갑골문을 한자의 기원으로 본다.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 만든 것이 한자라고 이야기 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확실히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이처럼 한자의 기원은 다양하면서도 신기하다.

그럼 중국에서 만들어진 한자를 왜 배워야 할까? 우리나라는 과거 중국의 영향을 받아 한자를 오랫동안 사용해왔고, 지금 또한 일상생활 속에서 한자를 쉽게 접한다. 신문이나 인터넷, 책 등에서 한자어를 사용하거나 길거리에서는 한자로 된 간판을 볼 수도 있다. 이렇다 보니 한자의 의미를 몰라 문장을 이해하지 못해 난감함을 겪을 수 있다.

또한, 한자어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한자교육은 필요하다. 특히 한자는 우리 한글 속에 존재하고 있기에, 한글만을 공부하게 되면 문장의 속뜻을 이해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말에 담겨있는 한자를 읽고 그 뜻을 알고 있다면 글의 의미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자문화권에서 사는 인구가 전 세계의 약 50% 내외로 만국 공용어인 영어보다 한자를 사용하는 인구가 더 많다고 집계되고 있는 현재, 한자를 중국의 문자로 보는 인식을 벗어나서 범아시아, 동양문화권의 기반이 되는 문자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활동과 규모가 커지면 이들 나라와 교류를 위해서라도 한자 교육은 반드시 필요한 교육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현재 대한민국 사회에는 한자를 완전히 폐지하는 주장과, 제한되고 있는 한자교육을 다시 뻗어나갈 수 있게 지원하고 교육하자는 의견이 서로 대립되어 있다. 심지어는 순수 우리말을 사용하기 위해 한자어 자체를 없애자는 의견도 있기 때문에 양측 대립이 심화되고 있다.

사실 한자어 자체를 없애는 건 실행되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끊임없는 검토와 풍부한 자료조사 그리고 수집, 선명한 개혁방안들이 한문교육의 철저한 방향성을 이끌어가야 한다. 단순한 자료 분석이 아닌 심층적이고 진지하게 임할 필요가 있다. 왜 그 주장을 펼치게 되었는지 한자교육의 단점이란 무엇인지 등 한자를 완전히 폐지하자는 주장을 하는 이들의 입장을 들어보고, 각자의 의견을 절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한자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조금 더 확실히 자리 잡아 나 가야한다고  교육부는 밝히고 있습니다.

일선에서 한자를 가르치고 있는 우리들은 더욱 한자교육의 필요성과 유래를 잘 알아야 겠습니다.

한자를 가르칠수 있는 한자속독 가족 모두가 애국자가 아닐까 생각 합니다.  ​

댓글목록

최혜연님의 댓글

최혜연 | 경남교육본부 작성일

김윤정 선생님 반갑습니다~
좋은 정보 잘 읽었습니다~
덕분에 한자에 대해 새로운 것을 알게되었네요.
잘 활용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정정이님의 댓글

정정이 | 대구교육본부 작성일

한자를 왜 우리 아이들에게 잘 가르쳐야 하는지 알려주는 정보네요~
오늘 수업에 가서 아이들에게 창의인성시간에 이야기해줘야겠어요~
고맙습니다~

이은정님의 댓글

이은정 | 대구교육본부 작성일

김윤정 선생님 좀은정보 감사합니다
한자속독 수업을 왜 해야하는것인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드네요
감사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