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알림마당

소식 및 알림, 활동모습을 알려드립니다.

자유게시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6-10-20 22:54 작성자박세진 | 대구교육본부  댓글 2건 조회 3,582회

김치의 유래

본문

김치의 어원

 

김치가 한자말에서 유래되었다니 아이들 눈이 동그래집니다.

우연찮게 시작한 말인데 호기심을 보이니 설명을 잘 해줘야겠지요~

선생님들도 짬나는 시간에 활용해보세요

```````````````````````````````````````````````````````````

10월이 지나고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곧 겨울입니다.

겨울을 대비하여 우리 선조들은 김장담기로 월동준비를 합니다.

여기서도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보입니다.

겨울에는 채소가 나지 않으므로 우리나라의 기후적 특징을 고려하여 추운 겨울에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 만든 것이 바로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김치입니다.

그럼 김치의 어원을 알아볼까요?

채소를 소금물에 담근다고 해서 침채(沈菜)라고 합니다. ‘침채를 당시 발음으로는 딤채로 읽었고, 이것이 짐치를 거쳐 김치가 되었습니다. 예전에 할머니들은 김치라는 말보다 짐치라는 말을 많이 썼고, 오늘 날 딤채는 김치냉장고의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말은 발음하기 쉬운 것으로 변하기도하며 사라지기도 합니다. 순 우리말로 알던 어휘도 이렇게 한자말에서 나온 것이 적지 않습니다. ‘상추생채(生菜)’에서, ‘배추백채(白寀)’에서 유래 되었답니다.

 

 

댓글목록

전선주님의 댓글

전선주 | 서울강남·동작·관악,경기도김포시교육본부 작성일

박세진 선생님 안녕하세요^^
김치의 유래에 대해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자를 배워야 하는 이유가 우리말
이해하기 쉽기때문입니다.
창의인성시간에 잘 활용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장현미님의 댓글

장현미 | 대구교육본부 작성일

아하 김치를 무지좋아하는 1인인데
할머니의 짐치 ㅎㅎ,반가운 딤채
다 어원이 있었다는게 글을 읽다보니 신기합니다.
샘은 우째 이래 박식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