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알림마당

소식 및 알림, 활동모습을 알려드립니다.

자유게시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6-10-26 18:34 작성자이지연 | 대구교육본부  댓글 3건 조회 4,050회

난이도 한자 파자학습으로 이해를 쑥쑥

본문

선생님들 안녕하십니까~ 어느덧 쌀쌀한 계절이 왔습니다. 모든 선생님들 건강 유의하세요~~

학생들의 급수 단계가 올라가는만큼 한자의 수도 글자 난이도도 어려워집니다.

학생들이 간혹 뜻이 어렵거나 한자모양이 어려워 질문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파자로 쪼개어 설명해주면 이해가 쉬운것 같습니다. 어려워하는 한자 중 몇 개 올려 봅니다.

작게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어려울 난 ( 難 )

뜻을 나타내는 隹(새 추)와, 堇(진흙 근)이 합한 글자다.

새가 진흙에 빠져서 나오기 어려운 모양을 의미한다.어렵다, 곤란하다는 뜻이다. 나무라다의 뜻도 있다.

난관 ( 難關 ) : 지나기가 썩 어려운 관문, 일을 해나가기가 어려운 고비

 

헤아릴 량 ( 量 )

쌀이나 곡물 모양을 나타내는 曰에, 무게를 뜻하는 重(무거울 중)이 합한 글자다.

무게를 재다, 헤아리다의 뜻이다.

 

하고자할 욕 ( 欲 )

입으로 무엇인가를 하다는 뜻의 欠(하품 흠)과, 음을 나타내는 谷(골 곡)이 합한 글자다.

하고자 하다는 뜻이다

-욕구 ( 欲求 ) : 바라고 구함, 하고자 함.

 

그릇 기 ( 器 )

개고기를 뜻하는 犬(개 견)과, 그릇을 뜻하는 4개의 口(입 구)가 합한 글자다.

개고기를 담는 그릇을 의미하여, 그릇을 나타내게 되었다.

대기만성 ( 大器晩成 ) :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뜻으로, 큰 인물이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

 

실천할/ 엎을 복 ( 覆 )

뜻을 나타내는 襾(덮을 아)와, 음을 나타내는 復(돌아올 복)이 합한 글자다.

실천하다, 뒤집다의 뜻이다. -전복 ( 顚覆 ) : 뒤집혀 엎어짐

 

믿을 시 ( 恃 )

뜻을 나타내는 忄(마음심부)에, 음을 나타내는 寺(절 사)가 합한 글자다.

믿다, 의지하다의 뜻

 

짧을 단 ( 短 )

뜻을 나타내는 矢(화살 시)와,음을 나타내는 豆(콩 두)가 합한 글자다.

화살이 다른 물건에 비해서는 짧으므로 짧다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

 

저 피 ( 彼 )

걷고 있다는 의미의 彳(두인변)에, 음을 나타내는 皮(가죽 피)가 합한 글자다.

저만큼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말씀 담 ( 談 )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에, 음을 나타내는 炎(불꽃 염)이 합한 글자다. 혀를 활발하게 움직여 말하는 것을 나타낸다.

 

 

댓글목록

하정자님의 댓글

하정자 | 부산중부교육본부(북구,사상구,부산진구,동구,중구) 작성일

이지연선생님! 반갑습니다. 
누구나 현장에서 아이들을 지도하다 보면
높은 급수를 취득한 제자를 배출하고픈
욕심이 앞서기 마련입니다. 파자란 한자
를 익힘에 앞서 분해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스며들듯이 가르치는 교수님의 지도원리와
다르지 않습니다. 한자가 어렵다는 것은
단계가 문제가 아니라 과학적인 결과에
따른 적기의 한자습득이 이루어지지 않은
때문이 아닐까요? 교수님께 배운대로
한자학습은 "읽기"먼저->"그리기"는 후에
라는 말씀을 늘 반추하다보니 기존의
한자학습은 읽고 쓰기를 동시에하기 때문에
더 더욱 어려워 지는 것이라는 확신이 왔습니다.

파자 든 자원풀이든 과목별 공부법이 따로 있듯
자신의 수준에 맞는 교재를 선정하여 꾸준히 공부
하시되 정상적인 수업에 정체성을 두고 역량을
키워 나가시기를 바랍니다.

김선애님의 댓글

김선애 | 경남교육본부 작성일

이지연 선생니 반갑습니다.
많은 도움받고 갑니다.
교재연구를 많이 해서 아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현정님의 댓글

김현정 | 대구교육본부 작성일

항상 배울점이 많으신 선생님.오늘도 좋은 내용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