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알림마당

소식 및 알림, 활동모습을 알려드립니다.

자유게시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6-10-31 20:55 작성자오미성 | 대구교육본부  댓글 4건 조회 7,569회

시월의 마지막 날이네요.

본문

전국의 한자속독 가족 여러분, 건강하시죠!

우리 학생들과 ******** 융합교육인 한자속독 교육으로 재미있게 수업에 임하고 있습니다.

한자의 특수성과 속독의 원리를 활용하여 뇌생리학적 원리에 맞추어 개발된만큼 프로그램에 따라 훈련만 한 학생들이 공부를 잘하고 독서도 좋아하고 집중력 또한 뛰어납니다.

학생들에게 "한자속독 수업을 왜 하지?" 라고 물으면 "집중력이 좋아져요!", "똑똑해져요", "공부를 잘해요!"라는 말을 합니다.

그러면 저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다 맞는 말이야. 그리고 우리말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라고 말합니다.

 

한자를 공부하는 이유는 우리말이 한자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말의 70%이상이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고, 학습 용어는 90%이상 한자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자어로 이루어진 단어 안에는 그 의미가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에 한자를 알면 알수록 어휘력과 이해력이 높아집니다. 독해력이 높아지는 건 당연합니다. 성균관대학교 문과대 학장 전광진 교수는 한글과 한자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관계라고 했습니다. 숟가락은 한글, 젓가락은 한자를 뜻합니다. 한글은 '읽기'를 잘하게 하는 말이고, 한자는 '생각'을 잘하게 하는 말이라 설명했습니다. 참 공감가는 말이지요!

 

우리 학생들이 실수하는 한자어의 본음과 속음 자료입니다.

 

국립국어원(http://www.korean.go.kr/) 한글맞춤법 제6장 그밖의 것입니다.

[제52항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

예시
본음으로
나는 것
속음으로
나는 것
승낙(承諾) 수락(受諾), 쾌락(快諾), 허락(許諾)
만난(萬難) 곤란(困難), 논란(論難)
안녕(安寧) 의령(宜寧), 회령(會寧)
분노(忿怒) 대로(大怒), 희로애락(喜怒哀樂)
토론(討論) 의논(議論)
오륙십(五六十) 오뉴월(五六月), 유월(六月)
목재(木材) 모과(木瓜)
십일(十日) 시방정토(十方淨土), 시왕(十王), 시월(十月)
팔일(八日) 초파일(初八日)
해설 속음은 세속에서 널리 사용되는 익은소리(습관음)이므로, 속음으로 된 발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게 되며, 따라서 맞춤법에서도 속음에 따라 적게 된다.

표의 문자인 한자는 하나하나가 어휘 형태소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본음 형태와 속음 형태는 동일 형태소의 이형태(異形態)인 것이다.

이 밖에도, 불교 용어의
  • 리(菩提)/제공(提供)
  • 보시(布施)/공포(公布)
  • 도량(道場)(불도를 닦는 깨끗한 마당)/도장(道場)(무예를 닦는 곳)
따위라든가,
  • 댁(本宅), 시댁(媤宅), 댁내(宅內)/자택(自宅)
  • 란(牧丹)/단심(丹心), 통찰(洞察)/동굴(洞窟)
  • 탕(砂糖), 설탕(雪糖)/당분(糖分)

등과 같이, 속음으로 적는 단어가 많이 있다.​] 

 

참고하세요!!

 

날씨가 갑자기 많이 쌀쌀해졌네요!

교수님, 건강조심하시고요!

본부장님, 대구본부의 선생님들, 전국의 선생님들 모두모두 건강하세요!

 

행복하게 시월의 마지막 밤 보내세요!

 

 

 

댓글목록

박희정님의 댓글

박희정 | 대구교육본부 작성일

선생님 반갑습니다^^!
숟가락은 한글, 젓가락은 한자
뗄래야 뗄수없는 관계이죠!
정말 공감됩니다~어휘력이 부족해 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학생들이
한자를 배우며, 한자속독을 익히며 하나하나 알아갈때,알고 즐거워할때의
보람도 큰 것 같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정민주님의 댓글

정민주 | 대구교육본부 작성일

시저교육이라고 해서 숟가락, 젓가락을 빗대어 한자교육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학자가 있다고하지요
선생님의 글을 통해 또한번 한자 교육의 중요성을 알고 갑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성순정님의 댓글

성순정 | 경남교육본부 작성일

오미성 선생님 반갑습니다.
이번달은 한자를 공부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려고 계획하고 있는데
선생님께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주신것 잘 활용하겠습니다.
지난 전국연수회때 저희 팀장님으로 많은 것을 보고 배웠는데
이렇게 또 도움받네요. 감사합니다~^^

김경희님의 댓글

김경희 | 대구교육본부 작성일

오미성선생님 반갑습니다.
다시 한번 한자의 중요성을 배우고 갑니다.
읽기와 생각을 잘할 수 있도록
한자속독 열심히 지도하겠습니다. 좋은 정보 잘 활용하겟습니다.